728x90
참고 영상 :
https://youtu.be/jVw3Khxeluk?si=n7cLIuq0EY66m_h2
참고 사이트 :
https://qiita.com/Conabuku/items/d077ef0b19845f29ebc7
コーポレートエンジニアのキャリア形成論 - Qiita
サマリー この記事は、コーポレートエンジニアという職種に触れ、彼らが日々直面する挑戦、不安、そして、成長の機会を考えることにします。。コーポレートエンジニアリングの世界は、
qiita.com
1. 코퍼레이트 엔지니어의 정의와 미션
- 코퍼레이트 엔지니어는 '회사 비즈니스 전략과 IT를 연결하는 전문가'
- 주요 역할: 사내 시스템(네트워크, 서버, 업무시스템 등) 설계, 운영, 관리,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(자동화, 효율화)으로 조직 성장·경쟁력 강화
- 단순 기술자에 머무르지 않고 "비즈니스의 심장부"에 관여, 기술적 시각과 경영적 시각을 지도력 있게 융합해야 함
2. 커리어에서 마주치는 현실과 불안
- 코퍼레이트 엔지니어 경력의 한계:
- 사내 고유 업무‧시스템을 오래 다루면 그 경험이 "특정 회사·도메인에만 국한"
- 외부 SI, 개발 쪽 전문가처럼 다양한 프로젝트/기술을 직접 체험하기 어려움
- 최신 기술 도입·교육은 예산, 업무환경상 늦어지는 경우 잦음
- 일 자체가 '사내 안정/운영'에 치중하여 신기술/혁신 영역에 뒤처지기 쉬움
- 업무가 한정돼서 "스스로 성장하는 느낌이 약하다"는 고민 흔함
3. 코퍼레이트 엔지니어의 해법·마인드·강점
- 그럼에도 불구하고, 기업 내 IT 핵심으로서 비즈니스 전략 달성에 직접적인 '영향력'과 '주도권'을 가질 수 있음
- "업무 프로세스 이해"와 "조직横断 커뮤니케이션"에서 얻는 경험은 어디서도 대체 불가
- 엔지니어로서 갖추어야 할 주요 7대 스킬:
① 벤더 관리 ② 시스템·소프트웨어 운영 ③ 정보보안 ④ 인프라 설계/관리 ⑤ 데이터 분석基반 ⑥ 세일즈(설득) 스킬 ⑦ 커뮤니케이션 - 기술력만 Important하지 않음!
- 회사 내에서 의사결정권자(비IT조직 포함)와 협업/설득하는 역량
- 개선안 제시부터 실제 정착까지 추진하는 실행력과 문제해결 능력
4. 기타(주요 비교, 문제의식)
- SIer, 외부 전문개발자와 비교해 '유연성/스킬 업데이트'에 제약이 많으나, 반대로 "현장과 밀착"‧"조직 내 영향 증대"라는 독자적 가치·경로가 있음
- 시장에서의 최신 기술 습득이 어렵지만, 반대로 비즈니스 중심의 IT 리더·관리직으로 커리어 전환 가능성이 높음
- 여러 부서, 현장과 교류하면서 인적 자산, 사업 프로세스에 대한 총체적 이해가 커지는 것이 큰 장점
결론(핵심 메시지)
- 코퍼레이트 엔지니어는 단순한 IT 잡무 담당자가 아닌, "비즈니스와 IT의 가교"
- 단점: 기술적으로는 좁아질 수 있지만, 조직 내 실질 영향력·리더십, 종합적 비즈니스 추진 경험이 쌓임
- IT 베이스 + 문제해결능력 + 커뮤니케이션/리더십을 바탕으로 회사 내에서 '기술을 통한 변화'를 주도할 수 있다면 특별한 가치를 가질 수 있음
단기 업무 (즉, 평소에 매일 자주 하게 될 일)
- 헬프데스크 역할: 사내 직원들의 문의에 대응
- 사용자 상담: “이거 안 돼요, 어떻게 하나요?” 스타일의 즉석 질문을 받고 해결
- PC 관련 모든 트러블(고장, 오류, 소프트웨어 문제 등) 대응
- 소프트웨어나 시스템, 기기 사용법 안내
- 키팅: 신규 입사자 PC 설정, 장비 세팅·배포
- 시스템 보수·운영: 네트워크, 서버, IT장비 정상작동 점검·간단한 유지관리
장기 업무 (프로젝트성, 기간을 갖고 진행하는 일)
- 프로젝트 로드맵 작성: IT 관련 신규 프로젝트(시스템 개편, 자동화 등) 계획 수립
- 정보수집: 최신 IT, 보안, AI, SaaS 트렌드 파악 및 관련 정보 분석
- 최신 툴/서비스 도입: 사내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새로운 서비스(AI, SaaS, 보안 시스템 등) 도입 검토 및 적용
- 기존 업무의 정보화: 기존 사무 프로세스,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바꿀 수 있도록 정보화 진행
- 외부 벤더와의 미팅: 장비/시스템 공급사 등 외부 전문가와 협업, 기술 상담, 네고 등
현실적인 요약
- 단기(일상)는 '잡무'와 사내 IT서포트(문제 해결, PC 설정, 사용법 안내)가 주 업무
- 장기적으로는 회사 전반의 IT 환경 개선, 새로운 서비스 도입, 효율화, 외부 협력 등 조금 더 "주도적"인 변화 업무가 있음